잡학다식 : )

칼 융(Carl Jung)의 분석심리학 본문

dailly/생활정보

칼 융(Carl Jung)의 분석심리학

kkang1009 2021. 11. 27. 23:04
반응형

 

칼 융(Carl Jung)의 분석심리학

 융은 프로이트가 성에 대한 리비도를 중요시 여기는 것에 반대하면서 프로이트의 이론에서 분리되어 분석심리학을 발전시켰으며, 프로이트와는 이론적 차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융은 프로이트의 말처럼 개인의 과거와 어린시절의 경험이 미래의 행동을 결정한다는 것에는 동의했지만, 미래는 과거와 경험만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열망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습니다. 융은 정신이 여러 개로 분리되어 있지만 상호작용한다고 보았습니다. 주요개념 3가지는 자아, 개인무의식과 집단 무의식입니다.

1. 자아

 자아는 인간이 인식하는 감정, 생각, 기억을 포함하며 의식적인 마음을 나타냅니다.

2. 개인무의식

이는 프로이트의 이론에서 등장하는 무의식의 개념과 동일합니다. 개인의 무의식은 잊혀진 정보와 억압된 기억과 인식하지 못 하는 기억을 포함합니다. 개인적인 무의식에 접근할 수는 없지만 꿈이나 최면상태에서 접근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3. 집단무의식

융의 분석심리학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프로이트 이론과의 가장 큰 차이점이기도 합니다. 그는 인간이 태어날때 집단 무의식을 가지고 태어나며 환경의 영향과 관계없이 모두가 공유하는 정신적인 패턴 또는 기억이라고 보았습니다. 태어날 때 부터 가지고 있는 조상의 기억으로 어둠에 대한 두려움이나, 육식동물에 대한 공포 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그는 집단무의식안에 모든 사람들이 인식할 수 있는 원형이 존재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원형은 집단무의식에서 비롯된 역할에 대한 이미지로 보편적인 의미를 가집니다. 원형은 페르소나, 그림자, 아니마와 아니무스라 불렀습니다.

  (1) 페로소나(가면) : 페르소나란 그리스어로 가면이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내면적 자아의 성격과 달리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는 이상적인 이미지로 자신의 성격을 꾸미는 것을 말합니다. 사람들이 사회적으로 기대하는 성격인척 하기 위해 가면을 쓴다고 보면 이해가 쉬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런 이미지에 지나치게 집착하게 되면 자신에 대한 억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 그림자 : 인간의 동물적인 본능을 말하며, 의식에 가장 가까이 있는 무의식으로 인간의 어둡고 부정적인 측면이라 봅니다.

(3) 아니마와 아니무스 : 아니마(남자), 아니무스(여자)는 자신의 반대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아니마는 남자의 무의식적인 여성적 측면, 아니무스는 여자의 남성적인 성향을 말합니다.

4. 분석심리학이 오늘날 미친 영향

 그는 행동성향에 따라 외향성, 내향성의 태도를 기반으로 하여 성격의 유형을 8가지로 분류하는 이론을 개발했습니다. 외향적인 사람은 객관성과 주변의 영향을 중시하고, 내향적인 사람은 주관적인 자신의 세계를 중시합니다. 성격의 기능을 생각, 느낌, 감각, 직관이라는 마음의 네가지 기능으로 구별했습니다. 두가지 태도와 네가지 기능이 서로 결합하여 성격유형이 결정됩니다. 이러한 성격유형은 오늘날의 MBTI(Myers Briggs Type Indicator)의 이론적 기반이 되었으며, 성격의 유형을 평가하는데 가장 널리 이용되는 성격평가 도구 입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