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도덕성발달 6단계
- 피아제 인지발달단계
- 혐오요법 행동치료
-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
- 칼융 분석심리학
- 로렌스 콜버그
- 꼬리표이론
- 알프레드 아들러
- 개인심리학 이론
- 매슬로우 욕구이론
- 임산부백신접종
- 피아제 인지발달이론
- 콜버스 도덕성발달
- 정신역동이론
- 욕구계층 5단계
- 임산부 맥주
- 유아기 수면
- 임신 백신접종
- 욕구위계 5단계
- 융 분석심리학
- 라벨링이론
- 임산부 코로나
- 아동 도덕성 발달
- 수면의식
- MBTI 기원
- 매슬로우 욕구위계
- 아들러 개인심리
- 혐오요법
- 낙인이론
- 수면 아동발달
- Today
- Total
잡학다식 : )
알프레드 아들러(Alfred Adler) 개인심리이론 본문
알프레드 아들러(Alfred Adler) 개인심리이론
아들러는 프로이트의 동료로 정신분석학의 창시를 도운 동료였습니다. 프로이트가 개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내적사건을 중요시 여겼지만 아들러는 한 개인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외적요인과 다른 내적요소들도 고려해야한다고 주장하였고 프로이트의 정신역동이론과 분리되었습니다. 그는 모든 사람은 열등감을 가지고 있고, 이를 극복하기 위헤 우월함을 추구한다고 보았습니다. 이러한 우월함의 추구는 인간의 행동과 감정, 생각을 실행하기 위한 동기를 부여하는 긍적적인 요소로 보았습니다.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부족함과 열등감을 느끼게 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른 강점을 보완하여 약점을 보완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아이가 부모로부터 적절한 보살핌과 양육을 받는다면 자신의 약점을 인식하고 받아들이며, 노력해서 극복할 수 있다는 점을 배우게 됩니다. 우월함의 추구는 인간의 본능적인 욕구이며 사람마다 추구하는 방식이 다릅니다. 자신이 가진 재능을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추구한다면 자기계발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잘못된 방향으로 나아간다면 과잉보상과 열등감컴플렉스와 같이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도 있습니다. 이 두가지는 어떤 것을 말하는지 아래에서 살펴보겠습니다.
1. 과잉보상
열등감이 과도하게 강해지고 보상이 더 이상 만족스럽지 않게 느껴지기시작합니다. 보상이 만족스럽지 않기 때문에 더욱더 강렬한 보상을 원하게 됩니다.
2. 열등감 콤플렉스
열등감에 대한 과도한 보상은 열등감 콤플렉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것은 자신이 노력해도 열등감을 극복할 수 없을 것 이라는 자존감 부족으로 느껴지게 됩니다.
※ 열등감 콤플렉스의 원인
● 기관열등감 :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외모나 신체적 불만족에서 비롯됩니다.
● 과잉보호 : 부모의 과잉보호로 인해 독립심 발달을 저해 및 자녀의 자신감부족으로 이어지면서 발생하는 열등감
● 양육태만 : 방임과 같은 부모의 양육태만으로 인해 자신의 존재가 가치없다고 느끼게 되며 이로인해 열등감을 극복하지 못 하게 될 확률이 높아집니다.
3. 우월감 콤플렉스
지나친 열등감은 우월감콤플렉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항상 자신이 우월하다는 것을 증명하길 바라며 지나친 열등감이 우월한 척을 하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4. 출생순서에 따른 영향
아들러는 출생순서가 아이들의 성격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예측가능하다고 보았습니다.
● 첫째 : 처음 태어나는 아이로 가족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으며, 규칙과 규범을 중요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둘째 : 첫째를 경쟁의 대상으로 여기고 뛰어넘기 위해 노력합니다,
● 막내 : 첫째와 둘째에 비해 능력이 부족하다는 열등감을 느껴 자신을 증명하기 위해 노력하는 경향이 있으며, 부모의 과잉보호의 대상이 될 수 도 있습니다.
● 외동 : 경쟁할 형제가 없고 가족의 사랑을 한 몸에 받습니다. 이로 인해 버릇없는 아이로 자라게 될 수 도 있습니다.
5. 비판적 견해
프로이트의 정신역동이론과 같이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역히 과학적으로 증명하기 어렵다는 비판을 받습니다. 실제로 연구는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피상적이라는 비판을 많이 받았습니다.
'dailly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기의 수면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0) | 2021.12.03 |
---|---|
칼 융(Carl Jung)의 분석심리학 (0) | 2021.11.27 |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 정신분석이론 (0) | 2021.11.15 |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이론 (0) | 2021.11.12 |
로렌스 콜버그(Lawrence 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 (0) | 2021.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