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임산부 맥주
- 낙인이론
- 콜버스 도덕성발달
- 수면 아동발달
- 라벨링이론
- 융 분석심리학
- 혐오요법
- 임산부 코로나
- 임산부백신접종
- 알프레드 아들러
- 아들러 개인심리
- 피아제 인지발달단계
- 욕구계층 5단계
- 매슬로우 욕구위계
- 꼬리표이론
- 수면의식
- 유아기 수면
- 개인심리학 이론
- 정신역동이론
- 아동 도덕성 발달
- 칼융 분석심리학
- 도덕성발달 6단계
- 욕구위계 5단계
- 매슬로우 욕구이론
- 피아제 인지발달이론
- 로렌스 콜버그
-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
- 혐오요법 행동치료
- 임신 백신접종
- MBTI 기원
- Today
- Total
잡학다식 : )
로렌스 콜버그(Lawrence 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 본문
로렌스 콜버그(Lawrence 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
콜버그(Kohlberg)는 미국의 심리학자로 인지이론가 피아제(Piaget)의 연구에 영향을 받아 아동의 도덕성발달을 설명하였습니다. 콜버그(Kohlberg)는 인지발달이 일정한 단계를 거치는 것 처럼 도덕성발달 또한 일정한 단계를 거쳐 발전한다고 믿었고 도덕발달 단계를 관습에 얽매이지 않는 도덕성, 관습적 도덕성, 탈관습적 도덕성 3단계로 나누고 세부적으로 6단계로 나누었습니다.
콜버그(Kohlberg)는 도덕성 발달을 설명하기 위해 하인즈 이야기를 구상하여 활용했습니다. 하인즈라는 사람은 죽어가는 아내의 병을 치료하기 위해 약이 필요했지만, 병을 치료하기 위한 약의 종류는 단 한가지 뿐이었습니다. 이 약은 같은 마을에 사는 의사가 발명한 약으로 원가는 200달러였는데 약값으로 2,000달러를 요구했습니다. 남편 하인즈는 약값을 구하기 위해 팔방으로 뛰어다녔지만 약값의 절반정도인 1,000달러 밖에 구하지 못 했습니다. 이에 하인즈는 의사에게 아내가 죽어가고 있다고 이야기한 후 약을 1,000달러에 팔거나, 1,000달러 먼저 내고 나머지 금액은 나중에 갚는다고 부탁했습니다. 하지만 약사는 그 값에 팔 수는 없다고 이야기했고, 절망한 하인즈는 약방에 침입해 약사의 약을 훔쳤습니다. 이 이야기는 여러가지 의문을 들게 합니다. 남편은 약을 훔쳤기 때문에 벌을 받아야 하는 것일까요?
수준1. 관습에 얽매이지 않는 도덕성 | 1단계 : 순종과 처벌 2단계 : 상대적 쾌락주의 |
수준1. 관습적 도덕성 | 3단계 : 대인관계 유지 4단계 : 법과 질서 |
수준3. 탈 관습적 도덕성 | 5단계 : 사회적 계약 6단계 : 보편적 원칙 |
수준1. 관습에 얽매이지 않는 도덕성
이 시기에 아동의 도덕성은 스스로 조절할 수 없고 외부에 의해 통제됩니다. 부모님이나 선생님 등과 같이 권위있는 사람이 제시하는 규칙을 따릅니다. 아동 스스로 도덕적 판단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대신 특정 행동을 했을 때 나타나는 결과에 주로 초점을 맞춥니다.
◈ 1단계 - 순종과 처벌(2세~3세, 5~6세) : 도덕성이 발달하지 않은 상태로 부모로 부터 처벌을 피하기 위해 추구하는 단계. 이 시기에는 콜버그의 하인즈 이론에서 하인즈가 약을 훔치는 행동에 대해 물으면, 잘못 된 행동이라고 판단합니다. 약을 훔치면 경찰에 체포되어 벌을 받기 때문에 나쁜행동이라고 판단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어떤 행동을 한 결과 받는 처벌이 가혹할 수록 더 나쁜 행동이라고 인식합니다.
◈ 2단계 - 상대적 쾌락주의(8세~11세) :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행동을 올바른 행동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에 자신이 받을 수 있는 보상에 대해 중점을 두게 됩니다. 이 시기에는 하인즈가 약을 훔쳐서라도 아내의 병을 나을 수 있게 하는 것이 옳은 행동이라고 판단합니다.
수준2. 관습적 도덕성
이전 수준에서 외부에 의해 통제되었던 것 과 달리 이 수준에서는 아동의 도덕성은 사회적관계와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하다는 믿음이 생기고, 자신이 속한 집단의 도덕기준에 맞추어 행동하려 합니다.
◈ 3단계 - 대인관계(12세~17세)
이 단계에서는 착한아이를 지향하고 다른 사람들의 인정을 원합니다. 착한 행동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착한아이로 비춰지는데 중점을 둡니다. 이 단계에서는 하인즈가 약을 훔치는 것은 약사에게 피해를 입히는 것이지 때문에 잘못된 행동이라고 판단합니다.
◈ 4단계 - 법과 질서(18세~25세)
이 단계에서는 법이 인간의 삶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중점을 두고 그것이 사회를 유지하는데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규칙을 준수하기 시작합니다. 법은 사람들을 보호하기위해 만들어졌기 때문에 이를 어기는 것을 잘못이라고 생각합니다.
수준3. 탈관습적 도덕성
개인의 도덕성은 좀 더 추상적인 원칙과 가치로 발달됩니다. 이 수준에서는 법이라고 해서 무조건 준수하는 것이 아니라, 부당하다고 느껴지는 법은 변경하거나 없애야 된다고 믿습니다. 이것은 법이라고 해서 무조건 따르는 것이 아니라 법을 어길 수 도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 5단계 - 사회적 계약(25세 이상)
이 단계에서는 사람들은 사회전체를 중시하고, 전체뿐만 아니라 개인의 권리를 존중하는데 중점을 둡니다. 이 시기에는 하인즈가 약사의 집에 침입해 약을 훔치는 것을 옳지 못 한 행동이지만 아내의 목숨을 구하기 위해 한 일이므로 용서해야한다고 판단합니다.
◈ 6단계 - 보편적윤리
6단계는 모두가 도달할 수 있는 도덕적 수준이 아니라고 보아 연령을 특정할 수 없다고 봉았습니다. 이 시기에는 공정성 및 윤리의 원칙을 준수하는데 중점을 둡니다. 특히 생명의 가치는 다른 무엇보다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dailly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 정신분석이론 (0) | 2021.11.15 |
---|---|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이론 (0) | 2021.11.12 |
범죄학 - 낙인이론(Labeling Theory) (0) | 2021.11.10 |
혐오요법(Aversion Therapy)을 활용한 행동치료 (0) | 2021.11.09 |
에릭슨(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 8단계 (0) | 2021.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