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콜버스 도덕성발달
- 피아제 인지발달이론
- 임신 백신접종
- 아들러 개인심리
- 아동 도덕성 발달
- 혐오요법 행동치료
-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
- 라벨링이론
- 정신역동이론
- 매슬로우 욕구위계
- 매슬로우 욕구이론
- 욕구위계 5단계
- 임산부 맥주
- 융 분석심리학
- 수면 아동발달
- 개인심리학 이론
- 혐오요법
- 피아제 인지발달단계
- 로렌스 콜버그
- 도덕성발달 6단계
- 알프레드 아들러
- 칼융 분석심리학
- 욕구계층 5단계
- 임산부 코로나
- 낙인이론
- 꼬리표이론
- 유아기 수면
- MBTI 기원
- 임산부백신접종
- 수면의식
- Today
- Total
잡학다식 : )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 정신분석이론 본문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 정신분석이론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는 정신분석학의 창시자로 정신분석적 접근의 기초가 되는 이론을 마련하였습니다. 프로이트는 대학에서 의학공부를 하였고 공부하는 동안 신경학에 관심을 가졌으며, 최면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프로이트는 환자가 꿈,생각, 감정, 기억 등 떠오르는 것을 이야기하고 환자가 말한 정보들을 순서대로 분석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여 심리치료를 개발했습니다.
프로이트는 모든 행동의 원인이 무의식에 있으며, 인간의 행동과 감정은 무의식적인 동기에 영향을 받는다고 보았습니다. 무의식은 인간행동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지만 수면아래에 가려져 보이지 않는 빙산의 거대한 부분처럼 쉽게 드러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정신역동이론에서는 어린시절의 경험과 사건이 성격형성에 영향을 미칠뿐만 아니라 성인이 된 후의 삶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말합니다. 때문에 어린시절의 트라우마는 무의식에 남아 성인이 된 후에도 삶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개인이 겪는 심리적, 행동적 문제의 원인은 무의식에 잠재되어있으며, 원인을 제거해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의식수준
의식, 전의식, 무의식으로 나누었습니다. 의식은 자신이 의식할 수 있는 부분으로 새로운 의식이 유입되면서 끊임없이 변합니다. 전의식은 의식과 무의식의 다리역할을 하며 무의식의 일부분이지만 의식세계로 끌어들여 이용할 수 있는 기억입니다. 무의식은 정신의 가장 깊이 내제 되어있는 부분으로 우리가 인식하지 못 하고 접근할 수 도 없는 정신적 영역입니다.
성격수준
원초아(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 세가지로 구분했습니다. 원초아(id)는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본능으로 식욕, 성욕, 수면욕 등과 같이 가장 강력한 욕구입니다. 원초아는 도덕성에 대한 고려는 하지 않고 쾌락을 추구하기를 원합니다. 자아(ego)는 원초아와 초자아 사이의 중재자 역할을 수행합니다. 둘 사이의 합의점을 찾아 현실에서 상호작용하고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초자아는 부모님과 사회로 부터 배운 사회적가치와 도덕적규범이며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데 관여합니다.
정신분석의 한계
정신분석이론은 5살까지의 경험이 가장 중요하고 이 시기의 경험과 사건들이 성인이후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결정론적 성격을 띠고 있습니다. 환경적인 요소를 간과하고 인간행동에 대해 개인의지가 없고 무의식에 의해서만 행동한다고 보기 때문에 받아들이기 설득력이 떨어집니다. 또한 정신과 인간행동에 대한 분석은 과학적이지 않고 개인의 주관에 의지하기 때문에 검증이 어렵습니다.
1899 꿈의 해석 출판
꿈의해석에서 꿈은 무의식과 욕망의 표출이라고 보았습니다. 현실에서는 허용되지 않는 행동이나 욕망들이 꿈속에서는 제어가 약해져 나타난다고 보았습니다. 시간이 된다면 프로이트의 꿈의해석 책을 읽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dailly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 융(Carl Jung)의 분석심리학 (0) | 2021.11.27 |
---|---|
알프레드 아들러(Alfred Adler) 개인심리이론 (0) | 2021.11.16 |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이론 (0) | 2021.11.12 |
로렌스 콜버그(Lawrence 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 (0) | 2021.11.11 |
범죄학 - 낙인이론(Labeling Theory) (0) | 2021.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