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수면의식
- 아들러 개인심리
- 매슬로우 욕구위계
- 알프레드 아들러
- 피아제 인지발달이론
- 아동 도덕성 발달
- 낙인이론
- 콜버스 도덕성발달
- 라벨링이론
- 수면 아동발달
- 정신역동이론
- 임산부 코로나
- 임신 백신접종
- 유아기 수면
- MBTI 기원
- 혐오요법 행동치료
- 개인심리학 이론
- 욕구위계 5단계
- 칼융 분석심리학
- 혐오요법
- 꼬리표이론
- 융 분석심리학
-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
- 도덕성발달 6단계
- 매슬로우 욕구이론
- 욕구계층 5단계
- 피아제 인지발달단계
- 로렌스 콜버그
- 임산부 맥주
- 임산부백신접종
- Today
- Total
잡학다식 : )

1. 유아기의 수면이 중요한 이유 유아시절에는 잠을 자는 동안 자란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만큼 잠이 성장하는데 중요하다는 뜻이 아닐까 합니다. 충분한 수면을 통해 면역력을 키울 수 있고 이는 곧 아이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수면은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충분한 수면을 통해 긍정적인 사고를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아이들은 깨어있는 동안 많은 양의 정보를 접하게 되고, 하루동안 얻은 정보와 지식들을 자는 동안 정리합니다. 때문에 충분한 수면을 통해 정리하고 뇌를 정리하고 기억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지는 것이 두뇌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2. 수면의식이란? 수면의식이란 밤에 잠들기 전 꾸준히 행하는 행동들로 빨리 잠들 수 있게 하고 밤에 깨는 시..

칼 융(Carl Jung)의 분석심리학 융은 프로이트가 성에 대한 리비도를 중요시 여기는 것에 반대하면서 프로이트의 이론에서 분리되어 분석심리학을 발전시켰으며, 프로이트와는 이론적 차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융은 프로이트의 말처럼 개인의 과거와 어린시절의 경험이 미래의 행동을 결정한다는 것에는 동의했지만, 미래는 과거와 경험만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열망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습니다. 융은 정신이 여러 개로 분리되어 있지만 상호작용한다고 보았습니다. 주요개념 3가지는 자아, 개인무의식과 집단 무의식입니다. 1. 자아 자아는 인간이 인식하는 감정, 생각, 기억을 포함하며 의식적인 마음을 나타냅니다. 2. 개인무의식 이는 프로이트의 이론에서 등장하는 무의식의 개념과 동일합니다. 개인의 무의식은 잊혀진 정보와..

알프레드 아들러(Alfred Adler) 개인심리이론 아들러는 프로이트의 동료로 정신분석학의 창시를 도운 동료였습니다. 프로이트가 개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내적사건을 중요시 여겼지만 아들러는 한 개인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외적요인과 다른 내적요소들도 고려해야한다고 주장하였고 프로이트의 정신역동이론과 분리되었습니다. 그는 모든 사람은 열등감을 가지고 있고, 이를 극복하기 위헤 우월함을 추구한다고 보았습니다. 이러한 우월함의 추구는 인간의 행동과 감정, 생각을 실행하기 위한 동기를 부여하는 긍적적인 요소로 보았습니다.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부족함과 열등감을 느끼게 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른 강점을 보완하여 약점을 보완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아이가 부모로부터 적절한 보살핌과 양육을 받는다면 자신의 약점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