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혐오요법 행동치료
- 수면 아동발달
- MBTI 기원
- 유아기 수면
- 도덕성발달 6단계
- 낙인이론
- 임산부 코로나
- 매슬로우 욕구이론
- 매슬로우 욕구위계
- 정신역동이론
- 로렌스 콜버그
- 융 분석심리학
- 개인심리학 이론
- 수면의식
- 임신 백신접종
- 콜버스 도덕성발달
- 라벨링이론
- 임산부 맥주
- 칼융 분석심리학
- 알프레드 아들러
- 욕구위계 5단계
- 욕구계층 5단계
- 아동 도덕성 발달
-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
- 아들러 개인심리
- 피아제 인지발달단계
- 피아제 인지발달이론
- 임산부백신접종
- 꼬리표이론
- 혐오요법
- Today
- Total
잡학다식 : )
반두라(Albert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본문

사회학습이론
Albert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은 다른사람의 행동, 태도, 정서적반응 등을 관찰하고 모방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사회학습이론에서는 주어진 환경에서 행동을 관찰하고 학습한다고 봅니다.
아이들은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고, 주변의 사람들이 하는 행동을 관찰합니다. 여기서 관찰 된 사람이나 사물을 모델이라고 합니다. 가족이나 부모님, TV속 주인공, 친구, 선생님 등 자신에게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것들이 모델이 될 수 있습니다. 아이는 모델을 관찰하고 모방합니다. 아이들은 자신과 비슷하다고 생각되어 지는 대상에게 관심을 갖고 모방할 가능성이 높고, 이는 결과적으로 같은 성별의 사람을 모델로 하며 모방할 확률이 높습니다.
아이가 모방하는 행동에 대해 주변 사람들은 반응을 하게 되고 이는 행동강화와 처벌로 나눠집니다. 아이가 모방한 행동을 한 결과 보상을 받았다면 그 행동을 지속적으로 수행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를 들면 아이가 장난감 정리를 하는 것을 보며 부모님이 "정리도 잘 하고 참 착한 아이구나"라고 한다면 칭찬을 받음으로써 아이는 보람을 느끼게 되고 그 행동을 반복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이러한 것을 보고 행동이 강화되었다고 합니다. 강화는 긍정적일 수 도 있고 부정적일 수 도 있지만 중요한 것은 행동에 변화를 가져온다는 것입니다.
아이는 다른 사람의 행동을 모방하면 모방한 결과 어떤 일들이 일어날 지 생각하게 됩니다. 예를 들자면, 남동생이 누나가 특정 행동을 한 후 보상을 받는 것을 관찰하게 되면, 그 행동을 스스로 모방하여 행동 할 확률이 높습니다. 이러한 행동을 대리강화라고 합니다.
Albert Bandura는 관찰학습이 자동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관찰학습을 하기 위해 인지과정이 선행된다고 보았습니다. 모방하기 전 인지과정이 작동하여 모방 할 행동을 결정하는 것이라고 보는 것 입니다.
*모방의 과정
(1) 주의: 일상생활을 하며 매일 수 많은 행동을 관찰하지만 우리는 이 행동들에 모두 주의를 기울이거나, 모두 모방하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의 주의를 이끄는 행동을 모방할 확률이 높습니다.
(2) 기억: 관찰한 사람이 추후에 관찰행동을 모방할 수 있도록 행동에 대한 기억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재생산: 모델이 한 행동을 수행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모방하고 싶다고 모두 모방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자신의 신체능력이나 수행능력에 따라 모방할 수 있는 정도(한계)가 있기 때문에 모방하고 싶지만, 할 수 없는 행동들도 많기때문입니다.
(4) 동기: 모방행동에 따른 보상이 클 경우 모방행동을 할 확률이 더 높아집니다. 즉, 행동을 모방하는데 있어 보상과 처벌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관찰자가 보기에 보상이 충분하게 느껴지지 않는다면 행동을 모방하지 않을 확률이 높습니다.
하지만 사회학습이론은 인간의 행동을 관찰과 모방으로 설명하기 때문에 인간행동의 복잡성을 과소평가한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행동은 단순한 관찰과 모방의 결과라고 보기보다는 주변환경과의 상호작용으로 영향을 받는 경우도 많기때문입니다.
'dailly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릭슨(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 8단계 (0) | 2021.11.07 |
---|---|
매슬로우(Maslow)의 욕구위계 이론 (0) | 2021.11.05 |
부모의 언어적 반응이 아동의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 (0) | 2021.11.02 |
심리학적 관점-인지이론이란? (0) | 2021.10.18 |
행동주의적 접근-학습이론(파블로프의 개실험) (0) | 2021.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