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ly/생활정보

범죄학 - 낙인이론(Labeling Theory)

kkang1009 2021. 11. 10. 13:22
반응형

 

1. 낙인이론(Labeling Theory)이란?

  낙인이론(Labeling Theory)은 꼬리표이론이라고도 불리며 범죄학과 관련이 있습니다. 범죄를 일으킨 사람이 부정적인 낙인이 찍히게 되면, 다른 사람들이 그 사람을 더욱 부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게 되고, 그 사람에 대한 고정관념이 생기게 됩니다. 그 결과 범죄자는 사람들의 시선대로 부정적이고, 범죄적인 행동을 더 많이 하게 됩니다.

 범죄와 일탈행동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하지만 범죄자나 일탈하는 사람으로 낙인이 찍히게 되면 일탈 및 범죄행동을 할 확률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탈행동을 한 모든 사람들이 낙인이 찍히는 것은 아니고, 권력을 가진 사람들이 범죄자로 낙인 찍을 때만 범죄행위가 성립되고, 보통은 강자에 의해 힘없는 자에게 낙인이 찍히게 됩니다  일탈과 범죄행위는 항상 잘못된 행동이 아니라 특정상황에서만 일탈이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행동에 대한 사회의 반응과 분위기가 일탈행위로 규정하고 낙인을 찍게 되는 것입니다.

   (1) 공식적인 라벨링

  일탈과 범죄행위에 대해 공인된 지위와 능력을 가진 사람이 부여하는 낙인입니다. 범죄를 저지르고 경찰에 체포된 후 범죄행위로 인한 유죄를 받고 범죄자란 공식라벨이 붙습니다.

  (2) 비공식적인 라벨링

  특정 사람이나 집단으로부터 분류되고, 공인되는 권한이 없는 사람들이 붙이는 라벨을 비공식적인 라벨링이라고 합니다. 학교에서 친구들이나 선생님으로 부터 사고뭉치라고로 찍히는 것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사회적으로 낙인이 찍힌 사람은 낙인의 영향을 받아 사회활동이나 타인과의 상호작용의 기회를 잃을 확률이 높습니다. 그 결과 교육수준 감소와 양질의 일자리를 구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사회에서 유대감을 형성하기 힘들어지게 됩니다. 부정적인 낙인은 개인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낙인이 발전하는 것은 아니지만 낙인의 영향으로 인해 눈덩이 효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눈덩이 효과란?

  작은 원인이나 행동으로 시작한 것이 점점 가속도가 붙어서 큰 효과나 결과로 이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긍적적인 의미로 쓰일 때도 있습니다. 낙인이론에서는 작은 일탈이나 범죄행위를 한 후 이에 가속도가 붙어 점점 더 많은 일탈 및 범죄행위를 일으키게 된다는 의미도 사용되었습니다.

  한 번 찍힌 낙인은 삶의 전반뿐만 아니라 범죄와 일탈행동의 발달에도 영향을 미쳐 범죄 및 일탈행동을 더욱 촉진하게 됩니다. 일탈자나 범죄자 낙인으로 인해 사회적으로 어울리지 못 하고, 동료들로 부터 인간적인 거부를 경험하게 되고,  이는 일탈하지 않는 사람들과의 원만한 교류를 저해하게 됩니다. 결국에는 일탈자는 일탈자들끼리 어울리며 관계형성을 하게 만듭니다. 일탈자 및 범죄자들끼리만 교류하게 되고 일탈 및 범죄행위를 서로 모방하고 배우며 결과적으로 더 많은 일탈과 범죄를 야기하게 될 것입니다.

2. 낙인이론(Labeling Theory)의 비판

  모든사람이 자신에게 찍힌 낙인을 받아들이는 것은 아니며, 범죄자가 범죄행위를 하는 것은 낙인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의지도 강력하게 개입한다는 점이 간과되었습니다. 또한 낙인이 찍히기 전 최초로 저지른 일탈 빛 범죄행위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고 낙인이 찍힌 후 저지르는 2차 일탈 및 범죄행위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또한 사회적약자의 경우 낙인찍힐 확률이 높습니다. 예를 들자면 미국사회내에서 범죄자의 절대적인 수는 백인이 많지만, 흑인이 범죄를 더 많이 저지를 것이다라는 낙인, 편견으로 인해 흑인 범죄자가 더 많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응형